마음의 신호등을 잘 살펴라
우리는 이 땅에 태어나는 순간부터 자유롭지 못한 존재가 된다.
이 몸뚱이는 조건 따라 지어진 것
이라서 일정한 한계를 벗어날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아무렇게나 마구잡이로 살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마음도 몸도 일정한 법에 따라 정성스럽게 나아가야 한다.
함부로 살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에 부처님은
우리가 가야 할 길을 가르쳐 주셨다.
우리의 몸은 물을 담은 포대와도 같아
망가지기 쉽고 깨지기 쉽고 부서지기 쉽다.
그리고 자기 몸은 제 것이라 해도 마음대로 할 수 없는 묘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몸의 조건을 잘 살펴서삶을
도모하고 운영해야만 한다.
해서는 안 될 일이 있고,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있다는 것을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
복잡한 네거리의 신호등을 생각해 보라. 신호등이 없다면 대로는 금방 혼란의 도가니가 되고 말 것이다.
신호등이 없는 큰길은 상상 할 수조차 없다.
이렇듯 우리의 마음에도 신호등이 필요하다.
신호등이 없으면 삶을 제대로 도모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의 몸도 마음도 함부로 아무렇게나 쓰면안 된다.
신호등을 따라 갈 때 가야 하고 멈춰야 될때 멈춰야 한다.
어지러운 바깥세상이 신호등에 따라 질서를 유지하는 것처럼
내 마음의 신호등이 잘 작동되어야 몸과 마음의 평온을 유지할 수 있다.
부처님이 말씀 하신 <팔만사천대장경>은
바로 우리 마음의 신호등과도 같은 것이다.
"이러이러한 일은 해라, 저러저러한 일은 하지 마라"
우리의 허름한 육신은 수명도 그리 오래 가지않는다.
어느 결에 이렇게 나이를 먹었는지
복잡한 네거리의 신호등을 생각해 보라. 신호등이 없다면 대로는 금방 혼란의 도가니가 되고 말 것이다.
신호등이 없는 큰길은 상상 할 수조차 없다.
이렇듯 우리의 마음에도 신호등이 필요하다.
신호등이 없으면 삶을 제대로 도모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의 몸도 마음도 함부로 아무렇게나 쓰면안 된다.
신호등을 따라 갈 때 가야 하고 멈춰야 될때 멈춰야 한다.
어지러운 바깥세상이 신호등에 따라 질서를 유지하는 것처럼
내 마음의 신호등이 잘 작동되어야 몸과 마음의 평온을 유지할 수 있다.
부처님이 말씀 하신 <팔만사천대장경>은
바로 우리 마음의 신호등과도 같은 것이다.
"이러이러한 일은 해라, 저러저러한 일은 하지 마라"
라고 밝혀 주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허랑방탕하게 살기 위해 이 몸을 받아
이 세상에 온 것이 아니다.
이 몸을 잘 활용해서 지혜를 증장 시키고
우리의 허름한 육신은 수명도 그리 오래 가지않는다.
어느 결에 이렇게 나이를 먹었는지
눈 깜짝할 사이에 세월은 흘러가 버린다.
이렇게 덧없이 흘러가는 삶을 의미 있게 살자면 레일에 따라 살아야 되고 궤도에 따라 살아야 한다.
신호등이 꺼져 있으면 혼돈과 암흑이 초래된다.
내 마음의 신호등이 작동하지 않으면 인생은 참으로 괴롭고 어려운 상황이 된다.
나 혼자만 괴로운 것이 아니라 남까지 괴롭히게 된다.
남들을 아프게 하고 사회를 분열 시키는 폭탄과도 같은 존재가 되고 말기 때문이다.
" 가야 할 때인가? 멈춰야 할 때인가? " 해야 될 일인가? 해서는 안 될 일인가? "
내 마음의 신호등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늘 주의해서 점검할 일이다.
이렇게 덧없이 흘러가는 삶을 의미 있게 살자면 레일에 따라 살아야 되고 궤도에 따라 살아야 한다.
신호등이 꺼져 있으면 혼돈과 암흑이 초래된다.
내 마음의 신호등이 작동하지 않으면 인생은 참으로 괴롭고 어려운 상황이 된다.
나 혼자만 괴로운 것이 아니라 남까지 괴롭히게 된다.
남들을 아프게 하고 사회를 분열 시키는 폭탄과도 같은 존재가 되고 말기 때문이다.
" 가야 할 때인가? 멈춰야 할 때인가? " 해야 될 일인가? 해서는 안 될 일인가? "
내 마음의 신호등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늘 주의해서 점검할 일이다.
- 지광스님 -
'●---佛法僧의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이 주인공/무불스님 (0) | 2015.10.25 |
---|---|
지금 보다 행복한 순간은 없습니다. (0) | 2015.10.20 |
행복의 조건은 무엇인가? (0) | 2015.10.01 |
털어버리면 환 해집니다 (0) | 2015.09.27 |
나도 없고 너도 없는데 보려고 하는 자는 누구냐 (0) | 2015.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