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상식

[스크랩] 정신분열증환자가 이상한말을 할때~

天 山 2011. 8. 17. 01:45

정신의학정보 게시판


No, 28
2000/11/15(수) 00:03
조회: 245
정신분열병 환자가 이상한 말과 행동을 할때  

정신분열병 환자가 이상한 말과 행동을 할때  
■ 기괴한 행동이나 말에 대한 기본 지식

환자가 기괴한 행동이나 말을 할 때 가족이 알아두어야 할 기본 지식은 다음과 같다.

● 그것은 병의 증상이지 가족이 잘못해서 그러한 행동이나 말을 하는 것은 아니다. 보통은 망상이나 환각(특히 환청)때문에 나타난다.

● 어느 정도는 환자 스스로 조절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스스로 조절하지 못한다.

● 가족으로서는 환자의 그런 행동이나 말을 이해하기 어렵지만 환자로서는 나름대로 숨은 의미가 있다,

● 기괴한 행동이나 말의 양상은 가벼운 형태부터 심한 형태까지 매우 다양하다.

● 기괴한 행동이나 말의 정도가 심하지 않을 때에는 차분히 기다리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환자에게 어떤 행동을 지적할 때에는 분명하고, 명백하고, 간결하게 말해야 한다.

● 왜 그런 행동이나 말을 하는지 물어본다. 만약 환자의 기괴한 행동이 망상이나 환청때문이라면 그것에 대해 논쟁을 벌여서는 안된다.

● 가능한 한 기괴한 행동이나 말에 관심을 안 보이는 것이 좋으며, 대신에 환자가 바람직한 행동을 할 경우에는 관심을 보이고 칭찬해 준다.

● 그 행동의 위험성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만약 환자가 보이는 기괴한 행동이 위험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환자에게 접근하는 것을 가능한 한 피하고 환자나 가족 모두에게 안전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 위험하지 않다고 판단될 때에는 가족들이 얼마나 그 행동을 견뎌낼 수 있는지 혹은 무시할 수 있는지 한계를 설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켜야 할 행동한계와 그 한계를 넘었을 때의 결과에 대하여 환자에게 차분히 말해 준다. 차분하게 기다리고 따지지 않는다고 해서 환자가 보이는 이상한 행동이나 말을 무조건 방치하라는 것은 아니다.

● 환자에게 가족들이 설정한 한계와 조치들을 설명해 주고 그의 의견을 듣는다. 그리고 가족내에서 설정한 한계를 지키겠으며, 만약 한계를 넘는 행동을 할 경우에는 환자 자신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가족내에서 설정한 조치에 전적으로 따르겠다는 약속을 받는다.

■ 환청이 있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차분하면서 이해하는 태도로 환자에게 방금 무엇을 들었거나 보았는지를 물어보고, 만약 그렇다고 대답하면 그것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물어본다.

● 환자가 자신의 환청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거나 느끼는지를 물어본다. 즉 불안한지 여부와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지 여부를 물어본다.

● 환자가 자신의 환청에 대하여 어떻게 설명하든지 간에 그것이 정상이냐 비정상이냐를 놓고 논쟁을 하지는 않는다.

● 환자에게 집안내에서 지켜야 할 행동단계를 다시 상기시켜 준다.

● 환청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조언을 해 준다.

■ 환청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조언은 무엇인가?

환자가 환청을 보일 때 다음과 같은 조언이 도움이 된다. 담당의사나 친한 친구에게 전화를 걸어 대화를 나누도록 권하고, 응급시 먹으라고 받은 항정신병 약을 복용하도록 권하고, 콧노래나 자신이 좋아하는 노래를 불러보라고 말하고, 그런 소리나 다른 이상한 감각들을 무시하라고 말하고, 헤드폰을 끼고 낮은 크기로 음악을 들어보라고 말하며, 다른 현실적인 화제에 대해 대화를 나눈다.

■ 환청이 있을 때 해서는 안되는 행동은 무엇인가?

● 빈정대거나 놀리는 투로 말해서는 안된다. 예를 들면 "네 귀는 고성능 안테나를 단 모양이지?"

● 충격을 받거나 아주 놀란 식으로 반응해서도 안된다. 환자에게 더 심한 불안을 야기시키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소리가 들린다고? 세상에 어떻게 그럴 수가!"

● 환자에게 그런 경험은 사실이 아니라거나 잘못들었다는 식으로 설득하려고 해서는 안된다. 예를 들면 "현실적으로 생각해 봐라. 주위에 아무도 없는데 어떻게 사람소리가 들리니? 정말 답답하다"라는 식으로 말해선 안된다.

● 환청의 내용에 대해서, 혹은 환청속에서 누가 그런 말을 했는가에 대해서 장시간 이야기해서는 안된다. 오래 대화를 나눌수록 환자는 실제 상황으로 더욱 믿게 된다. 오히려 화제를 바꾸어야 한다.

■ 망상에 대한 말을 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아주 강한 망상적 믿음에 대해서는 논쟁을 피한다. 논쟁을 벌이는 것은 쓸데없는 짓이다. 그런다고 해서 환자의 망상이 없어지지는 않는다. 오히려 환자의 생각을 바꾸어 놓으려는 시도는 오해와 분노만을 불러일으킨다. 환자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말만 간단히 하면 된다.

● 망상의 내용에 동의해서는 안된다. 망상내용에 동의하면 환자에게 더 큰 혼란과 공포만을 불러일으키거나, 환자의 망상적 믿음과 강화시켜서 더욱 비현실적인 세계로 빠져들게 만든다.

● 자신의 망상이 옳다고 계속 주장하면 서로 의견 일치가 안되는 주제에 대하여 논쟁하고 싶지 않다고 분명히 말한다.

● 화제를 건설적인 다른 것으로 바꾼다. 망상적인 내용이 아닌 다른 주제에 대하여 말할 때에는 많은 관심을 보여주고, 망상적인 내용을 말할 때에는 긍정도 부정도 하지 말아야 한다. 가능하면 대화 주제를 다른 쪽으로 바꾸어 망상적인 내용에서 벗어나도록 유도한다.

● 망상과 더불어 강한 감정이 동반될 경우에는 망상에 대하여 언급하지 않고 그 감정-예를 들면 공포, 분노, 불안, 슬픔-들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눈다. 예를 들면, "몹시 불안해 보이는데 어떻게 하면 덜 불안해 질 수 있겠니? 내가 도와줄 일은 없니?"라는 식으로 물어본다.

● 망상적 믿음과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는 것과는 반드시 구별해야 한다. 만약 망상적 믿음으로 인하여 기괴하거나 위험한 행동을 할 경우에는 반드시 그 행동에 대한 집안내 규칙을 환자에게 상기시켜 주고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출처 : 아름다운동행*
글쓴이 : hope(파란하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