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음식을 진설한다. |
(2) |
법주스님이나 법사가 염불하는동안 조용히 합장하고 서서 고인의 극락왕생을 발원한다. |
(3) |
법주스님이나 법사가 배례하라고 하면 맏상주 내외가 영좌 앞으로 나와 잔을 메(밥) 앞에 올리면, 집사는 메 뚜껑을 열어 숟가락을 메 중앙에 꽂고 젓가락은 시접에 세 번 두드린 다음 음식 위에 놓는다. 그 후 맏상주 내외가 절을 한다. |
(4) |
맏상주가 배례한 다음 차례로 배례하는데, 아래 잔 올리는 순서의 격식으로 배례한다.(이 때 남자는 잔을 들고 부인은 차, 술을 따른다.) 또한 먼 친척이나 친지들은 몇 명이 같이 올리는 것이 좋다. |
(5) |
잔 올리는 순서 : 먼저 차, 술을 따라 향로 위에 세 번 돌린 후 메·갱(국)앞에 올리고 젓가락을 시접에 세 번 가볍게 두드린 다음 음식에 얹어 놓고 절을 한다. 이때 절은 합장한 자세로 두번 반을 하는데 부처님께 하듯이 한다. |
(6) |
모두 배례한 후 법주께서 숭늉을 올리라고 하면, 맏상주 내외가 영좌 앞으로 나와 잔을 올린 후 집사는 갱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 다음 메 중앙에서 밥을 세 숟가락 떠서 숭늉에 말고 숟가락을 담가 놓는다. 그 다음 메는 뚜껑을 2/3가량 덮어 놓고 시접에 젓가락을 세 번 두드린 후 음식에 놓은 다음 맏상주 내외가 절을 한다. 그 후 집사는 메 뚜껑을 완전히 덮는다. |
(7) |
법주는 축원을 하는 동안 합장하고 고인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축원 후 모두 절을 하는 것으로써 제사를 마친다. 모두 법주께 합장하고 인사를 올린다. |
(8) |
숭늉에 진설한 모든 음식을 조금씩 담아 시식을 한다.
 |
|
(1) 불교식 상차림(통일법요집 522쪽, 대한불교조계종 간행, 스님용) |
 |
(2) 유교식 진설 |
제수를 제상에 진설하는 순서와 위치는 각 지방과 가문에 따라 다르고 상ㆍ하의 순서는 지켜야 하지만 좌ㆍ우 는 변경해도 됨(과일이나 반찬 종류) |
 |
 |
(3)제찬도(가정의례준칙)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