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옹선사의 시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愛而無憎兮 (료무애이무증혜) 사랑도 벗어 놓고 미움도 벗어 놓고,
如水如風而終我(여수여풍이종아)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 하네.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怒而無惜兮(료무노이무석혜) 성냄도 벗어 놓고 탐욕도 벗어 놓고,
如水如風而終我(여수여풍이종아)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 하네.
나옹선사 (懶翁禪師 1320 ~ 1376 :고려 말기의 선승이자 다인(茶人).
고려 말기의 고승으로
휘는 혜근(慧勤), 호는 나옹(懶翁), 본 이름은 원혜(元慧)이다.
속성은 아(牙)씨인데 고려 말
지금의 경북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에서 출생.
원나라 유학을 했고,
조선태조(朝鮮太祖)의 왕사였던 무학대사의 스승이었다.
출처 : 백운사와 물소리
글쓴이 : 至公居士 원글보기
메모 :
'●---佛法僧의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 닦는 길의 시작은 하심(下心)입니다 (0) | 2015.08.10 |
---|---|
[스크랩] 수행자에 대한 몇가지 충고.. / 법정스님 (0) | 2015.07.26 |
[스크랩] (177)잡보장경 (0) | 2015.07.20 |
[스크랩] 나는 그냥 나 자신이면 됩니다 (0) | 2015.06.27 |
[스크랩] 2015부처님 오신날(큰스님 법문) (0) | 2015.06.10 |